티스토리 뷰

목차



    크레딧 사용처확대
    소상공인 부담경감 크레딧 사용처확대

     

    중소벤처기업부는 오는 2025년 8월 11일부터, 소상공인을 위한 ‘부담경감 크레디트’의 사용처를 확대한다고 밝혔다.

    기존 7개 항목에서 2개 항목이 추가되며, 총 9개 항목에 대해 크레딧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번 조치는 크레딧의 실효성을 높이고, 그동안 사용처 제약으로 혜택을 누리지 못한 소상공인들의 불편을 해소하기 위한 취지에서 마련되었다.

     

    기존 사용처와 새롭게 추가된 항목

    그동안 부담경감 크레딧은 ▲전기요금 ▲가스요금 ▲수도요금 등 공공요금 3종과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 등 4대 보험 납부에 사용할 수 있었다.

     

    하지만 건물관리비에 포함된 형태로 공공요금을 납부하거나, 보험료 등을 자동 이체가 아닌 간접적인 방식으로 납부하는 경우에는 크레딧 사용이 사실상 불가능했다.

     

    이러한 사각지대를 해소하기 위해, 정부는 8월 11일부터 ‘통신비’‘차량 연료비’를 사용처에 추가하였다. 해당 항목은 카드 자동 결제내역을 통해 사용되며, 별도의 증빙서류 제출 없이 잔액에서 자동 차감되는 방식이다.

     

    소상공인 부담경감 크레딧 공문내용
    소상공인 부담경감 크레딧 공문내용

     

    지원 대상과 신청 일정

    부담경감 크레딧은 2025년 5월 1일 이전에 개업한 소상공인 중, 2024년 또는 2025년 연 매출이 3억 원 이하인 사업자를 대상으로 지급된다.

     

    신청은 전용 온라인 플랫폼인 ‘부담경감크레딧.kr’을 통해 가능하며, 마감일은 2025년 11월 28일까지이다. 지급된 크레딧은 2025년 12월 31일까지 사용해야 하며, 예산이 조기 소진될 경우 조기 종료될 수 있다.

    전용 사이트에서는 신청, 카드 등록, 사용처 관리, 잔액 조회 등 다양한 기능이 제공되고 있어 사용자 편의성이 높다.

     

    신청결과 캡쳐사진
    신청결과 캡쳐사진

     

    직접 신청해보니 영업일 기준 2~3일 정도면 크레딧이 들어오는 것을 확인했다. 참고하길 바란다.

    핵심 정리 테이블

    항목 내용
    📅 변경 적용일 2025년 8월 11일(월)
    🧾 기존 사용처 (7가지) 전기요금, 가스요금, 수도요금,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
    ➕ 추가 사용처 (2가지) 통신비, 차량 연료비
    🎯 신청 대상 2025년 5월 1일 이전 개업, 연 매출 3억 원 이하 소상공인
    🗓 신청 기한 2025년 11월 28일까지
    ⏰ 사용 기한 2025년 12월 31일까지 (예산 소진 시 조기 종료 가능)
    🌐 신청 사이트 부담경감크레딧.kr

     

    결론

    특히 공공요금 외에도 통신비와 유류비 같은 일상적인 비용 항목이 포함됨에 따라, 보다 많은 소상공인이 손쉽게 혜택을 체감할 수 있게 되었다.

     

    정부는 앞으로도 다양한 사각지대를 파악하고, 지속적으로 제도를 보완하여 현장 중심의 정책을 펼쳐나갈 계획이다. 이번 조치가 일회성으로 끝나지 않고, 소상공인의 회복과 성장을 뒷받침하는 기반으로 자리매김하길 기대해본다.

     

    < 크레딧 신청가능 카드사 >

     

    2025.08.02 - [분류 전체보기] - 소상공인 부담경감 크레딧 50만원

     

    소상공인 부담경감 크레딧 50만원

    부담경감 크레딧이란 무엇인가?‘부담경감 크레딧’은 고금리와 고물가로 어려움을 겪는 소상공인을 위한 정부 지원 제도입니다. 4대 보험료와 공과금 일부를 크레딧 형태로 지급하며, 대상자

    hongga.lovelykuma.com